[일요와이드] 북 "ICBM '화성-15형' 발사"…의도는?<br /><br /><br />북한이 올해 두 번째 미사일 도발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한미 연합연습을 예정대로 진행할 경우 전례 없는 대응에 직면하게 될 거란 위협을 한 지 하루 만입니다.<br /><br />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북한이 오늘 아침 ICBM '화성-15형'을 고각발사 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. 발사된 미사일은 "최대정점고도 5,768.5㎞까지 상승해 거리 989㎞를 4천15초간 비행했다고 밝혔는데요. 실제 미국 본토도 타격이 가능한 수준인 거죠?<br /><br /> 이번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새해 벽두 초대형 방사포 1발을 쏜 지 48일만에 올해 두 번째 도발입니다. 앞선 담화를 살펴보면 안보리 회의 소집을 명분 삼은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는데, 어떤 차원의 도발이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북한이 '전례없는 강력한 대응'을 경고한지 하루 만의 도발이기도 합니다. 담화로 도발의 명분을 쌓은 만큼, 단순히 말로만 경고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보여준 건데, 이건 어떤 의미로 보세요?<br /><br /> 특히 이번 도발은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작년 12월 담화에서 ICBM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다고 시사한 후 첫 ICBM 도발이라는 점이라는 겁니다. 예고대로 정상 각도로 쏘기 전 실험 단계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자유아시아방송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감행한 미사일 발사가 대부분 수도 평양 순안국제공항 인근에서 이뤄졌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발사 장소만 보면 평양 순안국제공항 인근에서 감행된 게 18건이라고요?<br /><br /> 군과 정보 당국은 북한이 인민군 창건 75주년 열병식 때 공개한 고체연료 추정 ICBM을 쏘았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분석 중이라고 하는데요. 현재 고체연료와 관련한 북한의 기술은 어떻게 평가하세요?<br /><br /> 북한이 추가로 감행할 도발의 수위가 점차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실제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움직임은 심상치 않다고 하던데요?<br /><br /> 앞으로 확장억제수단 운용연습과 한미연합훈련이 예정되어 있습니다. 북한이 영변 핵시설 등 주요 핵시설에서 핵물질도 계속 생산하고 있다는 군 당국의 분석도 나왔는데요. 북한의 다음 행보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우리나라와 미국, 일본의 외교 수장이 독일 뮌헨안보회의에서 만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대북 제재 집행 강화 등을 촉구했습니다. 국제사회에서도 규탄의 목소리가 쏟아졌는데요. 앞으로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